실시간 뉴스 울진 토박이 축산인 황흥수씨 이야기 울진의 인물 정담(鄭湛) 장군 울진 십이령을 넘은 보부상들은 어디로 향했는가? 울진의 명소, 연호(蓮湖)가 다시 태어나다 호월리 일우정(一愚亭) 울진의 마지막 유학자 무실재(務實齋) 남진영(南軫永) 선생 호월리 일우정(一愚亭) 의병장 이윤명(李潤明, 이명: 李東廈) 내가 본 북한 땅 임우규 용사의 월남 참전기
실시간 특별기고기사 울진 토박이 축산인 황흥수씨 이야기2023/04/05 11:57 우시장의 ‘사정사‘ 아직은 어둠이 완전히 걷히지 않은 이른 새벽인데 자동차 엔진 소리와 소들의 울음소리들이 뒤섞여 매우 소란스럽다. 매화 우시장이다. 축산 농민들은 싣고 온 소들을 자동차에서 내리고, 지정된 말뚝에 매기까지 매우 분주하다. 소들은 낯선 환... 울진의 인물 정담(鄭湛) 장군2023/02/20 10:10 울진문화원장 김성준 개 요 임진년인 1592년. 일본의 도요토미히데요시豊臣秀吉은 대대적인 병력을 동원하여 조선을 침략해 왔다. 우리는 이 전쟁을 임진왜란이라 부른다. 별다른 대비책이 없이 왜군의 급습을 당한... 울진 십이령을 넘은 보부상들은 어디로 향했는가?2022/07/01 09:33 글·사진 / 김성준 울진문화원장 두천 바릿재 입구의 ‘내성행상 불망비각’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우리나라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중 가장 먼저 달라진 것이 이른바 ‘신작로’라 하여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길을 낸 것이라 하겠다. 그때까지만 ... 울진의 명소, 연호(蓮湖)가 다시 태어나다2022/04/27 13:28 연호정 연호에서 뱃놀이하는 모습 / 1991 울진문화지 6호 표지 2021년 5월 3일 「연호근린공원조성사업」 준공식을 가졌다. 코로나 19로 지난해 초부터 지금까지 대중이 모이는 행사는 거의 하지 못했다가 1년 반 만에 처음으로 열린 행사라 참석자... 호월리 일우정(一愚亭)2022/04/27 12:11 일우정이 있는 왜고개의 절경 허물어진 일우정 건물 울진읍 호월1리 무월동에서 호월3리 높은들 마을로 가는 얕은 고갯마루에 ‘일우정(一愚亭)이란 정자가 있다. 정자가 있는 언덕배기를 왜(瓦)고개라 부르는데 아마 옛날에 기와를 굽던 ... 울진의 마지막 유학자 무실재(務實齋) 남진영(南軫永) 선생2021/08/31 15:27 무실재(務實齋) 남진영 (南軫永) 선생 신라에서 고려 말까지 불교문화가 우리 민족의 정신을 지배하였다면 조선 5백년 동안은 유교문화가 우리의 정신세계를 지배하였다고 볼 수 있다. 조선 개국과 함께 불교문화가 크게 쇠퇴했듯 갑오경장 이후 급속한 서구 문물의... 호월리 일우정(一愚亭)2021/04/12 17:52 울진문화원장 김성준 일우정이 있는 왜고개의 절경 허물어진 일우정 건물 울진읍 호월1리 무월동에서 호월3리 높은들 마을로 가는 얕은 고갯마루에 ‘일우정(一愚亭)이란 정자가 있다. 정자가 있는 언덕배기를 왜(瓦)고개라 부르는데 아... 의병장 이윤명(李潤明, 이명: 李東廈)2020/12/09 13:15 김성준 울진문화원 원장 의병장 이윤명 생가터인 울진군 북면 주인리 679번지. 지금은 논이다. 3대 후손 이희국씨 의병 활동 개요 이윤명(李潤明. 이명: 東厦))은 1884년 4월 14일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주인리 679번지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우계(羽溪)’, 兒名... 내가 본 북한 땅2020/11/24 09:27 2008년 11월 26일 평생 처음 북한 땅을 관광할 기회가 있었다. 우리가 어릴 때 북한 주민들은 항상 공산당의 감시 속에서 자유가 없고 식량은 배급을 타며 너무 가난하게 살고 있다고 배웠다. 더구나 아버지도, 선생님도 모두 ‘동무’라고 부른다고 하여 늘 이해... 임우규 용사의 월남 참전기2020/09/03 14:53 월남전에 참전한 것이 벌써 반세기를 지났다. 어린 학생들에게는 역사책에나 나오는 이야기겠지만 전쟁에 직접 참여한 우리들은 민주주의와 자유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었던 중요한 일이다. 이제 참전 용사들이 모두 팔순 노인들이 되었고 고인이 된 분들도 많아 이... 12마지막